페이지

2014년 2월 21일 금요일

netstat 사용하기(window)

netstat 툴을 이용하여 PC나 서버의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이란 인터넷 상의 컴퓨터를 찾아갈 때 참조하게 되는 경로를 정의해 놓은 것이라 보면됩니다.
내 PC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기 위해서는 윈도우 계열 PC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먼저 명령행 창을 띄우고 나서 'netstat -rn' 하고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활성경로 : 현재 PC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경로를 표시합니다. 
네트워크 대상 : 내가 갈 수 있는 목적지 네트워크를 나타냅니다. 
네트워크 마스크 : 이것에 대해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체계를 알고 있어야 하는 데 여기에서 말씀드리기에는 너무 많은 분량이라... 다 아신다는 것을 전제로, 앞의 네트워크 대상의 네트워크가 얼마정도의 호스트들, 쉽게 말해 컴퓨터들을 목적지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한 컴퓨터가 192.168.10.5라는 컴퓨터와 통신하고자 하면 해당 컴퓨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서192.168.10.5 컴퓨터가 포함될 수 있는 목적지 네트워크를 찾게됩니다. 만약 라우팅 테이블에 192.168.10.0  255.255.255.0 이 있다면 이는 192.168.10.0이라는 네트워크가 1부터 254까지의 호스트를 가지고 있다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컴퓨터는 이 라우팅 경로를 사용하게 됩니다
게이트웨이 : 이 정보는 앞서 목적지 네트워크를 가기위해서 빠져 나가야할 곳이 어딘지를 가리킵니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갈려고 하면 서울톨게이트를 빠져나가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일부 게이트웨이 필드에 '연결된'이라고 나타나는 목적지 네트워크들은 내 컴퓨터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들을 가리킵니다. 
인터페이스 : 이는 내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LAN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가리킵니다. 컴퓨터를 집이라고 하면 이 인터페이스들은 집을 둘러싼 담장에 있는 대문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어떤 목적지로 가기위해서는 어느 대문을 통해 나가라 이런 뜻입니다. 
메트릭 : 이는 해당 경로를 사용하는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메트릭 값이 더 적을 수록 더 선호도가 높습니다. 

각 필드에 설명을 드렸으니 이제는 위 화면에서 보여지는 라우팅 테이블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제일 먼저 2줄을 보면 네트워크 대상이 0.0.0.0, 네트워크 마스크가 0.0.0.0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이 라우팅 테이블이 의미하는 것은 내 컴퓨터가 바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가 아니거나 현재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목적지 네트워크 모두를 가리킵니다. 이런 네트워크에 속해있는 컴퓨터로 통신하고자 하면 보낼 데이터를 정의된 '게이트웨이'로 보내게 됩니다. 위에서는 192.168.1.237과 192.168.123.254로 보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두 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떤 경로를 선호하는 지가 뒤 메트릭에 의해 결정됩니다. 위의 예에서 192.168.1.237로 가는 경로 21이고 192.168.123.254로 가는 경로는 25로 컴퓨터는 192.168.1.237경로를 사용하게 됩니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에는 유선 즉, LAN선을 꽂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같이 존재하게 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image

image